삼성전자 주가 전망 및 목표주가(25년도 2월)
- 주식
- 2025. 2. 24.
대한민국 코스피 시장에 상장된 삼성전자의 재무, 차트, 수급을 분석한 후 공시사항을 점검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주가 전망 및 목표 주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세밀한 분석을 위해 다른 짜깁기 글에 비해 글과 숫자가 많지만, 읽는 것만으로도 여러분의 시간과 돈을 아낄 수 있습니다.
1. 종목 분석
1) 종목명 : 삼성전자
2) 관련 테마 : 반도체, 스마트폰
3) 액면가 : 500원
4) 시가총액 : 342조 원
5) 유통주식수 : 4,490,392,237 (69.4%)
6) 대주주 지분율 : 20.8% (삼성생명보험 외 16인)
7) 외국인 지분율 : 50.03%
기업 개요
삼성전자는 한국 및 CE, IM 부문 해외 9개 지역 총괄과 DS부문 해외 5개 지역 총괄, Harman 등 234개의 종속기업으로 구성된 대한민국 최고의 글로벌 전자기업입니다. 세트사업에는 TV, 냉장고 등을 생산하는 CE 부문과 스마트폰, 네트워크 시스템, 컴퓨터 등을 생산하는 IM 부문이 있습니다. DS부문에서는 D램, 낸드 플래시, 모바일 AP 등의 제품을 생산하는 반도체 사업과 TFT-LCD 및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을 생산하는 DP사업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삼성전자의 주요 매출 구성은 무선 38.22%, 반도에 25.56%, 디스플레이 10.12%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삼성전자의 자세한 분석은 아래 내용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재무 분석 ( A 등급 )
○ 삼성전자 재무 종합평가
"HBM 활약 절실"
작년부터 삼성전자에 대한 위기를 끊임없이 주장했었고 현재는 그 위기가 실체를 드러내고 있습니다. 삼성전자의 24년도 4분기 실적을 보면 영업이익 6.5조원으로 시장 컨센서스를 하회했고, 시장의 관심이 쏠려있는 반도체 사업부인 DS 부문 역시 영업이익 2.9조원으로 시장 전망치인 4조원에 30% 이상 부족한 부진한 실적을 기록했습니다.
DS부문 실적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비메모리 부문에서 R&D 비용은 증가했으나 여전히 사업성과 수익성 측면에서 시장 경쟁에서 뒤떨어진 모습을 유지하며 영업적자 -2.4조원을 기록했고 메모리 부문 NAND 역시 수요부진으로 ASP가 꾸준히 하락하며 영업이익 5,180억이라는 부진한 실적을 기록했습니다. DRAM 역시 중국발 레거시 반도체 공급 과잉 우려와 함께 ASP는 꾸준히 하락했으나 다행히 HBM 부문 매출비중이 크게 증가하며 DRAM 수익성은 기존 30% 중반대를 유지하는데 성공했습니다.
결과적으로 삼성전자의 24년도 4분기 실적은 비메모리나 파운드리, NAND, DRAM 모두 부진했으나 HBM이 활약하며 그나마 희망을 가져볼만하다고 평가할 수 있습니다. DS 외 기타 사업부 디스플레이, 가전, Harman, VD 등은 크게 눈에 띄는 부문은 없었습니다.
삼성전자가 넥스트 레벨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메모리 제조도 중요하지만 결국 파운드리에 답이 있다고 말씀드렸었죠. 글로벌 2위 삼성전자의 파운드리 부문 영업이익은 2023년 -2,000억 원을 초과했고, 2024년에는 무려 -5,000억 수준의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글로벌 1위 TSMC의 2024년 분기 영업이익은 10조 원을 훌쩍 넘은지 오래되었고 연간 영업이익은 40~50조 원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물론, 전체 영업이익 레벨만 비교해본다면 삼성전자 역시 30조원을 기록했기에 TSMC와의 차이는 크지 않습니다만 가전, DS, 스마트폰, 네트워크 등 복합 전자기업인 삼성전자와 경쟁자가 없다고 봐도 무방한 파운드리 분야의 글로벌 1위 TSMC에 대한 시장의 평가는 차이가 클 수 밖에 없겠죠.
그리고 삼성전자는 반도체 리더라는 시장 지위를 박탈당한데 이어 최근 SK하이닉스가 성과급 제한 한도를 풀고 삼성전자 대비 높은 급여 및 복지 수준을 제공하자 삼성전자 DS 사업부 내 고급 인력들의 이직률이 급격하게 증가하기 시작했습니다. 삼성전자는 박사급 인재들이 SK하이닉스로의 이직을 막기 위해 약 1억 원 이상의 보상금을 지급하겠다는 제안까지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중국의 창신반도체는 자국 정부의 보조금 정책과 더불어 인재약탈 및 기술유출로 인해 급격한 기술진보를 이뤄내며 DDR5, HBM2 개발까지 성공했습니다. 이미 시장에는 중국 반값 메모리들이 쏟아지기 시작했고 동남아, 인도 등 범용 메모리가 주로 사용되는 지역부터 점유율을 끌어올리기 시작했고 중국내 기업들에게 자국 반도체 사용에 따른 혜택을 부여하며 한국 반도체 의존도를 낮추고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분명한 위기입니다. 당장은 레거시 산업에서 발생되는 메모리 수요로 인해 숫자상 큰 타격은 없어보이지만 경쟁사들이 이미 오래전부터 미래를 위한 준비를 해왔고 그 결실을 거두고 있는 와중에 삼성전자는 중국과 레거시 반도체 시장에서 단가 경쟁을 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아마존, 테슬라, 엔비디아, 메타 등 엔지니어 출신의 CEO들이 인류의 미래를 내다보고 도전과 혁신을 꿈 꿀때 삼성전자의 핵심 경영진들은 엔지니어들이 배제되었고 당연히 기술혁신 없이 비용절감과 수익성에만 집중해왔습니다. 언제까지 레거시 강자로 업계 1위를 지킬 수는 없습니다. 메모리, 파운드리 산업 모두 경쟁사들이 시대를 앞서가고 있기에 삼성전자는 후발주자임을 인정하고 굉장힌 위기의식과 남다른 노력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여전히 재무건전성 만큼은 국내 최고 수준임을 부정할 순 없기에 삼성전자의 재무 부문 종합등급은 A등급으로 평가하겠습니다.
차트 분석 ( C 등급 )
○ 삼성전자 차트 종합평가
"여전히 매수금지령"
작년 하반기 삼성전자 주가 85,000원에서 매수 금지령 내려드렸었습니다. 삼성전자가 지금 주가에서 한 단계 레벨업하여 10만원 수준으로 올라가기 위해서는 파운드리나 AI 반도체 부문에서 유의미한 성과를 거둬야 하는데 여전히 해당 분야에서 성과가 전혀 없으며 오히려 경쟁사에 점점 뒤쳐지고 있다고 경고드리면서 매수 금지령을 선언했었죠. 게다가 삼성전자는 기존에 잘해왔던 레거시 반도체 부문에서도 중국이 무섭게 추격하고 있는 상황이기에 더더욱 매수 매력도는 떨어진다고 설명드렸었습니다.
주가는 귀신같이 88,000원 이후 중요 지지선인 5만원선까지 꾸준히 하락했고 아직까지는 5만원선에서 버텨주는 모습입니다. 삼성전자 주가가 해당 가격에서 버텨주는 이유는 현재 주가의 PBR 밸류는 20년 동안 삼성전자가 단 한번도 기록한적 없는 0.8배 수준이기 때문입니다.
역사적으로 삼성전자의 주가가 PBR 1.0배까지 하락한 경우에는 여지없이 1.5~1.8배까지 반등을 해왔기에 시장은 삼성전자의 주가 5만원을 굉장히 단단한 바텀이라고 판단하는 듯 합니다. 과거 삼성전자의 주가가 크게 하락한 이후에 반등을 이끌어냈었던 갤럭시와 반도체 모멘텀이 향후에도 유효할지는 솔직히 잘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확실한건 향후 삼성전자의 주가가 탄력적인 주가 반등이 나와준다면 그건 파운드리나 AI 반도체 부문에서 유의미한 성과가 나왔을 경우일겁니다. 이미 레드오션으로 빨갛게 물들어가고 있는 범용 메모리가 모멘텀이 되어 삼성전자 주가가 크게 반등할 가능성은 솔직히 높아보이지 않습니다.
지금까지 중국이 시장에 진입한 산업을 돌이켜보시기 바랍니다. 디스플레이, 철강, 석유화학, 2차전지 등 중국이 작정하고 산업을 훼손하기 시작하면 그 산업에는 풀 한포기 남지 않습니다. 제가 위에서 말씀드린 섹터의 국내 대표주들 몇 개만 뽑아서 주가흐름을 조회해보시면 직관적으로 지금의 위기를 깨달으실 수 있으실텐데 그런 중국이 지금 범용 메모리 시장에 너무나도 진심인 상황이라는 겁니다.
삼성전자의 주가는 중요한 지지선에서 지지가 나와주고 있긴 하지만 저는 조금 더 삼성전자의 회복 모멘텀을 기다리며 지켜 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따라서 삼성전자 차트 부문 종합등급은 C등급으로 평가하겠습니다.
수급 분석 ( C 등급 )
○ 삼성전자 수급 종합평가
"반전 필요"
삼성전자는 대한민국 대표 기업이자 개인 투자자들이 가장 많이 매수에 참여하는 기업입니다. 따라서 주가가 하락하면 개인 투자자들의 수급이 공격적으로 유입되는 경향이 매우 두드러지게 나타나죠. 최근에도 삼성전자 주가가 하락할 당시 개인 투자자들의 매수세가 공격적으로 유입되며 기관 투자자들의 물량을 받아내었고 중요한 지지선에서 횡보하자 개인 투자자들도 관망하며 상황을 지켜보는 모습이죠.
외국인 투자자들의 지분은 최근 6개월만에 3% 이상 줄어들었습니다. 결국 삼성전자의 주가를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개인 투자자들이 아닌 메이져 투자자들의 수급 유입이 중요하기에 주주분들께서는 수급 반전을 기다리셔야 할 겁니다. 수급 부문 삼성전자의 등급은 C등급으로 평가하겠습니다.
2. 주가 전망
종목의 강점과 약점을 바탕으로 삼성전자의 주가를 전망해보겠습니다. 투자의 책임은 오로지 본인에게 있으므로 잘 판단하셔서 투자하시길 바랍니다.
Strong Point
1) 안좋은 상황에도 그나마 활약해준 HBM
2) PBR 기준 역사적 저평가 구간에 진입
Weak Point
1) 경쟁사와의 기술 격차를 좁히고 있지 못한 답답한 상황
2) 범용 반도체 수요 부진으로 인해 ASP 하락 진행중
3) 레거시 수요까지 무너진다면 이익 레벨 하향할 것
4) 비메모리, 파운드리 적자폭 확대 중
3. 목표가
재무, 차트, 수급 분석과 주가 전망에 대한 강점과 약점을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목표가를 산출하기 때문에 실제로 목표가에 도달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허황된 목표가는 제시하지 않습니다.
- 삼성전자 목표가 : -
이전 분석과 마찬가지로 삼성전자 목표가는 생략합니다. 자세한 이유는 위에 설명드렸으니 참고하시고 새로운 모멘텀 및 패턴, 시그널이 발생되면 다시 분석을 통해 공유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제 분석 내용은 참고만 해주시길 바라며 투자의 결과는 오로지 투자한 본인의 책임입니다. 즐겁고 성공하는 투자가 되시길 바랍니다.
아래 제 블로그 메인페이지로 가시면 더 많은 기업 정보 및 분석자료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400개 기업 정보, 주가 전망, 목표 주가, 투자 등급 확인하기(블로그 메인 페이지)
1799QQ(경제, 주식 분석 전문가)
매크로 경제 및 기업의 분석과 시황을 바탕으로 주가전망과 목표주가, 투자등급을 제시해드립니다. 투자자분들이 위험한 종목은 피하고 유망한 종목은 미리 인지할 수 있게 무료로 모든 자료를
suvbee.com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파벳(구글) 실적발표 후 주가폭락! 매수기회? (0) | 2025.02.05 |
---|---|
팔란티어 실적 발표 후 주가 폭등(수익률 60% 초과) (0) | 2025.02.05 |
트럼프 관세 전쟁 시작!, 향후 시장 전망은? (0) | 2025.02.03 |
삼성바이오로직스 주가 전망 및 목표주가(25년도 2월) (0) | 2025.02.02 |
중국판 AI 딥시크는 충격과 공포 (0) | 2025.02.02 |